1. 왜 지금 이 주제인가
이행강제금은 ‘이행할 때까지 반복’이라는 구조상 누적 비용과 평판 리스크가 큽니다. 통지서 한 장을 늦게 처리하면 비용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. 오늘은 기업이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, 절차와 증빙, 기한 연장과 불복까지 실무 중심으로 설명드립니다.
2. 개념 한 장으로 정리
- 무엇: 세무조사 협조의무 불이행 시 ‘이행 시까지’ 반복 부과 가능한 행정상 금전부담
- 왜 위험한가: 상한이 없고 누증 가능. 과태료와 달리 종결이 아니라 ‘이행 유도’ 목적
- 핵심: 타임라인 관리·증빙 품질·커뮤니케이션 기록의 3박자
3. 이행강제금의 성격과 부과 사유
부과 사유는 주로 자료 미제출, 조사 방해, 허위 제출, 정당한 사유 없는 지연입니다. ‘정당한 사유’는 엄격하게 해석되므로, 사유 주장 시 객관 증빙과 사전 협의가 필수입니다. 기업은 요청 항목별로 원천 시스템·보관 위치·승인 체인을 매핑해 누락과 지연을 줄여야 합니다.
4. 부과 절차·기한: 타임라인 관리
일반 흐름은 통지서 수령 → 의견제출(통상 7~10영업일) → 이행기간 지정 → 불이행 시 반복 부과입니다. 핵심 문서는 ‘의견제출서’와 ‘자료 제출 계획서’입니다. 기한 연장이 필요하면 사유서(발급 지연·시스템 장애·외부 승인 대기), 증빙(요청 회신·화면 캡처), 구체 타임라인(기관·담당자·예상일)을 함께 제출해야 승인 가능성이 높습니다.
5. 과태료와의 차이: 비용·회계·공시
과태료는 일회성 제재, 이행강제금은 이행 전까지 반복 부과. 따라서 장부 반영·충당부채·공시 여부 등 회계·공시팀과 공조가 필요합니다. 대표·임원 개인 책임이 병행될 수 있으므로 법무의 선제 검토가 중요합니다.
6. 기업 대응 절차: TF·맵핑·커뮤니케이션
- 내부 킥오프: CFO·법무·세무·IT·현업 PM으로 태스크포스 구성
- 자료 맵핑: 항목별 원천 시스템·보관 위치 매핑, 개인정보·영업비밀 마스킹 정책 적용
- 원본성 증빙: 시스템 로그·전자서명·해시값 등 무결성 확보
- 커뮤니케이션: 단일 창구 운영, 회의록·Q&A 전수 기록
- 기한관리: 간트차트로 제출·보완·이행기한 시각화, 슬립 발생 시 즉시 연장 절차
7. 불복 전략: 이의신청·행심·소송
요건 불충족, 재량 남용, 절차 하자, 과다 부과 등 사유가 명확하면 단계별 불복을 검토하십시오. 다만 ‘이행’은 지연하면 반복 부과가 누적될 수 있으므로, ‘이행 + 불복 병행’이 기본 전략입니다.
8. 사례형 리스크 포인트
- 외부기관 발급 지연: 요청 회신·콜기록·화면 캡처로 정당한 사유 입증
- 데이터 마스킹: 과다 제출·유출 방지 위해 범위 사전 합의
- IT 덤프: 원시데이터 추출 시 해시값·작업 로그로 원본성 보장
- 서면/구두 불일치: 모든 커뮤니케이션을 서면화하고 결재라인 공유
9. FAQ
10. 제출 전 최종 점검표
- 요청 항목-시스템-보관 위치 매핑표 완성
- 마스킹 정책 문서화 및 적용 샘플 준비
- 원본성 증빙(로그, 전자서명, 해시) 확보
- 연장 사유서·증빙·타임라인 패키지 준비
- 의견서·Q&A 리스트·회의록 정리
0 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