관련 영상 보러 가기 : 돈! 야근! 책임! 같은 회사에서 사장과 직원이 '다른 우주'에 사는 이유 6가지
1) 급여 300만원: 비용 vs 생계 마지노선
사장에게 300만원은 급여 그 자체가 아니라 총인건비의 시작점입니다. 4대보험 사업주부담, 퇴직급여 충당, 복리후생, 장비·공간·교육비까지 합치면 체감 지출은 더 커집니다. 자연스레 “이만큼 투자했으니 성과가 돌아와야 한다”는 기대가 생깁니다.
직원에게 세후 실수령(대략 260만원 안팎)은 월세·식비·대출이자를 막는 생계선입니다. 이 돈은 투자금이 아니라 오늘을 버티는 ‘마지노선’에 가깝습니다.
해법: 총보상 구조(연봉+복지+교육+성장기회) 투명 공유 + 성과-보상 링크를 수치로 합의.
2) 저녁 7시: 이제부터 시작 vs 내 시간 침해
사장은 낮에는 운영·대외·의사결정으로 쪼개지고, 깊은 사고는 저녁부터 가능합니다. 그래서 7시는 “이제부터 진짜 시작”.
직원은 계약 시간 종료에서 ‘해방’을 체감합니다. 퇴근 후 지시·카톡은 무보상 시간 침해로 받아들여집니다.
- 야간 메시지 예약 발송, ‘긴급’ 기준 합의(예: 1시간/24시간 내), 대체휴무·수당 명문화, 주간 ‘무회의 시간’ 도입
3) 새로운 기획: 비전 vs 현실적 과부하
사장은 성장 옵션에 베팅합니다. 기회비용과 파급효과를 직감적으로 계산하죠.
직원은 기존 업무 위에 얹히는 과제를 예상합니다. 인력·기간·우선순위가 불명확하면 번아웃 위험이 큽니다.
- RACI로 역할 명료화, WBS로 일정·자원 산정, 파일럿(20%) → 지표 달성 시 점진 확대
- Go/No-Go 기준 사전 합의로 ‘좋은 아이디어’가 ‘무한 과제’로 번지는 것 방지
4) 문구류 한 자루: 절약 vs 생산성 투자
사장은 누적 비용의 무서움을 압니다. 작은 새는 큰 구멍이 되기 쉽죠.
직원은 도구 품질이 흐름(Flow)과 정확도에 직결된다고 느낍니다. 소액의 고효율 투자에 민감한 이유입니다.
- 소모품 월 한도·추천 브랜드 가이드, ‘효율 도구’는 미니 ROI 심사(처리시간 △% 단축 근거 공유)
5) 계약 실패의 순간: 회사의 존망 vs 직위 상실
사장은 현금흐름·신용·평판·임금지급 등 존속 리스크를 즉시 계산합니다. 최악 시나리오가 머릿속에서 동시에 돌아갑니다.
직원은 징계·경력·평판의 개인 리스크가 1순위입니다.
- 사전: 리스크 레지스터로 금액·영향도·완화책 명시
- 사후: 블레이멀리스 리트로(원인-대책-책임자-기한) → 재발 시 에스컬레이션 트리
6) 주인의식에 대한 오해: 강요 vs 동기 부여
사장은 자본·리스크를 걸었기에 ‘주인의식’을 요구하지만, 구조적으로 직원이 동일한 몰입을 내기 어렵다는 점을 간과하기 쉽습니다.
직원에게 현실적 동인은 프로 의식(약속한 성과·전문성)과 성장 경로입니다.
- 역할 기반 인센티브, 스킬 매트릭스·승급 요건 공개, OKR-보상 연동
- 자율성·숙련·목적(AMP) 관점에서 팀 설계
관련 영상
영상 제목: 돈! 야근! 책임! 같은 회사에서 사장과 직원이 ‘다른 우주’에 사는 이유 6가지
마무리
사장과 직원은 서로 다른 곳을 보는 게 아닙니다. 사장은 ‘전체 사업의 성공’을, 직원은 ‘내 삶의 성공’을 봅니다. 서로의 재무·시간·리스크 렌즈를 1%만 더 이해해도 협업은 눈에 띄게 좋아집니다. 댓글로 당신의 경험을 남겨 주세요. 현실적 해법으로 이어가겠습니다.
0 댓글